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5 (5주차)
: 실력 향상! 미니 인트로 제작까지 가능해졌다고!! (feat. 키프레임 & 트랜지션)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카메라 무빙 효과 (feat. 키프레임 활용)

1) Zoom In/Out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전체 시작값 조절(OUT의 경우) - Scale(주)/Position(부)/Rotation(부) 스톱워치 활성화 - 인디케이터 이동 - 전체 결괏값 조절

* Position 정가운데 좌표값

- FHD : 960*540

- HD : 640*360

 

2) Panning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Scale 값/Position 시작값 조절 - Position 스톱워치 활성화(Scale값은 고정) - 인디케이터 이동 - Position 결과값 조절

 

3) 특정 부분 확대/유지/축소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Scale/Position 스톱워치 활성화 - 확대할 순간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Scale 값/Position값 조절 - 인디케이터 이동 - 확대 결과값 키프레임(◆) 선택 Ctrl+C/V(유지 결과값 만들기) - 인디케이터 이동 - 첫 번째 시작값 키프레임(◆) 선택 - Ctrl+C/V(축소 결괏값 만들기)

* 최소 8개의 키프레임 필요

 

 

2. Swipe Transition 효과 (feat. 키프레임 활용)(트랙 CHECK**)

1) 두 영상(V1 트랙) 편집점의  윗트랙(V2 트랙)으로 이미지 or 영상 삽입 - 해당 클립(V2 트랙) 시작값 조절 - Position 모션 활성화(스톱워치) - 인디케이터 이동 - 결과값 조절 - 키프레임 속도 조절

 

2) 모션 클립(V2 트랙)의 필요 없는 앞/뒤 삭제 - 전환 전 클립(V1 트랙)의 끝부분으로 모션 클립 이동(V2 트랙) - Project 패널 - Effects - Linear Wipe - 전환 전 클립(V1 트랙)에 적용 - Effect Controls - Linear Wipe - Transition Completion - 인디케이터 이동 - 시작값 조절 - 모션 활성화(스톱워치) - 인디케이터 이동 - 결괏값 조절

 

3) 모션 클립 시작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전환 전 클립(V1 트랙) 컷(단축키 C) - 컷 클립 & 모션 클립 트랙 이동(V2 트랙 & V3 트랙) - 전환 후 클립 편집점으로 붙이기(V1 트랙)

 

 

3. 미니 인트로 제작 (트랙 CHECK**)

1) Import Folder(편집할 영상이 모여있는 폴더) - Ctrl+N(인트로용 새 시퀀스) - DSLR 1080p30 - 이름 지정

 

2) 오디오 클립 생성(A1 트랙) - 오디오 클립에 맞춰 타임라인에 마커(단축키 M) 생성

 

3) 소스 패널을 이용하여 컷 편집(단축키 I, O) - 마커 위치로 클립 삽입(A1 자물쇠 및 단축키 ',')

* 클립의 길이가 마커보다 짧을 시 Rate Stretch Tool(단축키 R)을 이용하여 속도 조절

 

4) Type Tool(단축키 T)을 사용해 멘트 작성(텍스트 컬러 화이트) - 트랙(V2 트랙) 전체로 길이 늘이기 - 마커 위치에 맞춰 해당 클립 컷 편집 - 각 클립 문자 수정

* 복사해서 사용도 가능하지만, 길이를 늘이고 컷 하여 수정하는 것이 더 빠른 방법 :)

 

5) 글자 안에 영상 투영되도록 Track Matte Key 효과 활용

: New Item - Color Matte(배경지) - 기존 클립들 한 트랙씩 위로 이동(V2, V3 트랙) - Color Matte 클립 생성(V1트랙 전체) - Effects - Track Matte Key - 영상 클립에 적용(V2 트랙) - Effect Controls - Track Matte Key - Matte - Video 3(자막 클립, V3 트랙) - Composite Using - Matte Alpha

* 블랙/화이트로 이루어진 Luma Matte 소스 = Matte Luma

* Text 클립은 글자 외의 부분을 투명으로 인식 = Matte Alpha

 

: Effect Controls - Track Matte Key 탭 선택 - Ctrl+C - 나머지 영상 클립(V2 트랙) 선택 - Ctrl+V

* 엔딩 클립 제외

 

6) 모션 넣기 (feat. 키프레임)

: 마지막 두 번째 자막 클립 한 트랙 위(V4 트랙)로 이동(V3 트랙의 해당 부분 비어있음) - 해당 영상 클립(V2 트랙)의 Matte, Video 4로 변경 - 엔딩 클립(영상&자막) Nest - 엔딩 클립 뒤로 밀어두기(임시)

: 엔딩 전 자막 클립 - 자막의 축, 중심으로 이동 - 영상 클립의 중간 위치로 인디케이터 이동 - Text - Transform - Scale 모션 활성화 - 인디케이터 1초 뒤로 이동 - 인디케이터 위치보다 클립(해당 영상&자막) 연장(엔딩컷과 겹치면서 디졸브 될 수 있도록) - Scale 값 조절하여 확대(엔딩 영상이 온전히 보일 수 있도록)

: 마지막 마커(전 클립과 겹쳐지는 구간)로 엔딩 클립 삽입(V3 트랙의 비어있던 부분) - V3 트랙 오픈 - 엔딩 클립의 겹치는 구간 투명도 조절(Ctrl+클릭)로 트랜지션 효과

: 가장 상위 트랙(V5 트랙) - 보조 문구 작성 - 해당 트랙(V5 트랙) 오픈 - 엔딩 클립과 겹치는 구간 투명도 조절(Ctrl+클릭)로 트랜지션 효과

 

 

4. 트랜지션 템플릿(.prfpset) 설치 및 사용 (트랙 CHECK**)

1) Effects - Presets - Import Preset

 

2) 프로젝트 패널 - New Item - Adjustment Layer**

* Adjustment Layer(조정레이어)

: 여러 클립에 동일한 트랜지션 효과를 넣는 아이템

: 줌인, 슬라이드 등 두 클립을 엮어 표현하기 위해

: 시퀀스와 크기가 같아야 함**

 

3) 두 클립의 편집점 윗트랙(V2 트랙)에 Adjustment Layer 클립 생성 - 편집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사용할 프리셋(12 프레임)에 맞춰 Adjustment Layer 클립의 길이 조정(앞 6+뒤 6) - 해당 클립 위 트랙(V3 트랙)으로 복사 - V3 트랙의 클립에 프리셋 적용 - V2 트랙의 클립에 치료약 적용 - V2 트랙의 클립 길이 조절(불필요한 부분 삭제)

* V1 트랙 : 두 가지 영상

* V2 트랙 : Adjustment Layer(ex. 12f Zoom In), 치료약 효과 적용

* V3 트랙 : Adjustment Layer 클립 복사, 프리셋(화면 전환 효과 등) 적용

** 치료약 : 프리셋 적용 시 나타나는 오류 수정

 

.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카메라 무빙 효과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카메라 Swipe Transition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미니 인트로 제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4 (4주차)
: 기본 섭렵 완료! 레벨업 해보자 :)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Markers(마커)

: 마커 (오디오 트랙에서 미리 마커 찍어두고 컷편집)  - 프로그램 패널 하단부 마커 표시(단축키 M)

* 클립 선택 후 M : 클립에 마커, 이동형 마커(클립 이동시 함께 이동)

* 클립 선택 X M : 타임라인에 마커, 고정형 마커(클립 이동해도 움직이지 않음)

* 마커 더블클릭 - Duration - 구간 및 코멘트 작성 가능

* Shift+M / Ctrl+Shift+M : 마커 간 이동 (앞 / 뒤)

* Ctrl+Alt+M / Shift+Ctrl+Alt+M : 마커 삭제 (낱개 / 전체)

 

 

2. 템포에 맞추어 컷편집 하기 (feat. 마커)

1) Automate To Sequence (프로젝트 패널 하단 버튼)

: Odering / Placement / Method / Ignore Options / Transitions (각 항목에 해당하는 내용 확인 후 체크)

* 짧은 음악, 쉽고 빠른 편집, 디테일 X

 

2) 소스 패널

: 편집할 영상 Drag&Drop OR 더블클릭

: 편집 구간 설정(단축키 I, O) - 오디오 트랙 자물쇠 잠금(오디오 삽입되지 않도록) - 단축키 ','로 컷 삽입

* Markers - Ripple Sequence Markers 체크 해제

 

 

3. Speed/Duration (속도)

1) Rate Stretch Tool (단축키 R) (내 마음대로 속도 조절)

: 클립 앞/뒤로 늘리고 줄이기 Fast/Slow

 

2) Frame Sampling / Frame Blending

: 영상 속도 조절 (Ctrl+R) - 원하는 속도 지정 - Time Interpolation

* Time Interpolation

: Frame Sampling - 기본

: Frame Blending - 잔상(모션 블러)

: Optical Flow - 슬로우 시 끊기는 현상 완화

 

* Preivew Rendering - 단축키 I, O 구간 설정 후 엔터!

 

 

4. 다양한 영상소스 사용 (feat. 오버레이/그린스크린/루마매트)

1) Overlay

: 배경이 어둡거나 밝은 영상소스를 블렌딩 모드로 합성하는 소스

: Effect Controls - Opacity - Blend Mode - Screen/Lighten(어두운 부분을 날릴 경우)

 

2) Green Screen

: 배경이 녹색인 소스에서 배경만 제외하여 블렌딩

: 프로젝트 패널 - Effects - Ultra Key - 소스 클립으로 Drag&Drop - Effect Controls - Ultra Key - Key Color - 피커 - Setting - Color Correction(소스 색 보정)

 

3) Luma Matte Transition (화면 전환 소스)

: 블랙/화이트로 이루어진 화면 전환 소스

* 화이트로 덮이는 경우는 일반 / 블랙으로 덮이는 경우는 Reverse CHECK

: 전환 후 화면 위 트랙으로 삽입 - 클립 선택 우클릭 LABEL 색 지정 - Effects - Track Matte Key(전환 후 영상에 적용!!) - Effect Controls - Track Matte Key - Matte - 소스가 있는 트랙 선택 - Composite Using - Matte Luma - 전환 소스가 끝나는 부분에 맞춰 전환 후 영상을 자르고 효과 삭제 - 소스클립&영상클립을 전환 전 영상 윗 트랙 끝으로 이동 - Matte에서 소스가 있는 트랙 재지정

: 전환소스를 전환 전 클립 2개 위 트랙 끝으로 삽입 - 전환 후 영상을 두 번째 트랙 빈 공간에 끼워넣기 - 남은 부분 컷 후 기존 트랙으로 이동 - 합성될 영상에 이펙트 적용

 


5. 모션의 기본 / 키프레임 적용

1) 모션의 기본 (동작, Effect Controls)

: Position / Scale / Rotation / OpaciTy

* 자막의 경우 

: Effect Controls - Text - Transform

: Opacity의 경우 자막 클립의 트랙을 더블 클릭 확장하여 Ctrl+Drag&Drop 으로 조절 가능

 

2) 모션 만드는 순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연습)

- 인디케이터를 모션 시작 지점으로 이동

-  모션 적용할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모션의 출발 모양새 잡기

 - 모션의 속성에 스톱워치 클릭하여 활성화 (첫 번째 출발 키프레임 생성 - 우측화면 ◆ CHECK)

- 인디케이터를 다음 모션 줄 시간대로 이동

- 다음 모션 모양새 잡기 (도착 키프레임 자동 생성 - 우측화면 ◆ CHECK)

* 키프레임 간격 조절로 속도 조절

 

 

프리미어프로 강의 4주차 영상소스 활용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3 (3주차)
: 유튜브에서 맨날 보는 그거! 나도 만들어 볼까? (feat. 왓썹맨 st. 브릿지)
: 인코딩하는 방법까지!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브릿지란?

- 유튜브를 보다 보면 영상과 영상 사이 재밌는 자막과 함께 채널의 컨셉이나 스타일,

색을 나타내는 짧은 화면이 지나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브릿지' 라고 한다.

 

2. 왓썹맨 st. 브릿지 만들어 보기

- 새로운 프리미어프로 파일을 생성 (브릿지 파일을 따로 만든 후 기존 작업 파일에 추가할 예정)

- File - New - Sequence - Sequence Presets - Available Presets - Digital SLR - 1080p 30(FHD 30fps) - Sequence Name

- 프로젝트 패널 - New Item - Color Mattee(배경지)** - 컬러 이름 지정(나의 경우 오렌지로 진행)

** 배경지는 바탕이 되어주는 친구이며 나의 경우 오렌지로 설정했고, 추후에 변경도 가능한 부분(영상에서 확인 가능)

- 추가할 사진 및 영상 -> V1 트랙

- 추가할 자막 -> V2,3 트랙 - Video Transitions - Wipe (자막에 모션 효과를 넣어서 진행)

- 추가할 오디오 ->A1 트랙

 

3. 브릿지 적용하기

- 기존 작업 파일에서 Import (브릿지 파일) - Import Entire Project - Create Folder For Imported Items

- 불러온 폴더 더블 클릭으로 진입 후 '시퀀스'를 원하는 제일 상위 혹은 제일 끝 트랙, 클립에 위치

- 해당 브릿지 클립 더블 클릭하여 브릿지 시퀀스로 진입하여(브릿지 타임라인이 생성됨) 수정 가능

- 기존 작업 내용 '타임라인'으로 돌아오기 - 인디케이터 브릿지 삽입할 위치로 이동

- 브릿지의 프로젝트 패널에서 브릿지 시퀀스 Drag -> 프로그램 패널(편집화면)로 Drop - Insert **

* 사진 교체

- 프로젝트 패널 내 새로운 사진 선택 <- SWAP 하여 교체(Alt+Drag&drop) -> 타임라인에서 교체할 사진(클립) 선택

* Color Mattee(배경지) 변경

- 브릿지의 프로젝트 패널에서 브릿지 시퀀스 Ctrl+C/V 복사

- New Item - Color Mattee 추가 - 복사한 시퀀스의 타임라인에서 배경지 클립 삭제 및 추가

 

4. 2가지 인코딩

- 퀵 인코딩 (feat. 프로그램 패널, 편집패널)

: Match Source - 작업한 시퀀스대로 인코딩

: High Quality - 다른 해상도로 인코딩

 

- 기본 인코딩 - File - Export - Media (Ctrl+M)

: Format - H.264(.mp4) - Preset - Export

* Format - Waveform Audio (오디오만 인코딩)

 

5. 인코딩 세팅 (feat. 화질/음질)

- 영상 하단 인코딩 영역(파란 막대) CHECK!

- Format - H.264(.mp4)

- Output Name - 영상 이름과 저장 경로 설정

- Export Video 및 Export Audio CHECK!

- Video 탭 - Bitrate Settings - Bitrate Encording

* CBR (고정 비트레이트 방식 인코딩)

: 영상의 시작부터 끝까지 설정한 화질로 균일하게 인코딩(용량 예측 가능, 안정적, 무거움)

* VBR (가변 비트레이트 방식 인코딩)

: 설정한 화질에서 정적/동적인 장면에서 유동적인 화질로 인코딩(싱크 틀어짐 발생 가능성, 가벼움)

* VBR 1 Pass (가변 비트레이트 방식으로 1번 인코딩)

* VBR 2 Pass (가변 비트레이트 방식으로 2번 인코딩 Like 초벌)

* 편집용으로 녹화나 녹음 시 CBR로 진행

- Target Bitrate(Mbps) - "10-30"

: 숫자가 높을수록 화질업

 

- Audio 탭 - Bitrate Settings - Bitrate(kbps) - "320"

- Save Preset - "CBR 30 320" (설정한 세팅으로 이름 지정하면 추후 사용하기에도 편리)

 

6. 작업 파일 자동 저장 경로 변경**

- File - Project Settings - Scratch Disks - Project Auto Save - Same as Project(작업 파일과 같은 위치에 자동 저장)

 

 

프리미어프로 강의 3주차 브릿지 만들기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2 (2주차)
: 유튜브와 릴스, 자막까지 너무 웃겨! 자막은 어떻게 쓴 거야?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자막 삽입의 기본

- 자막 삽입 위치 선정 (feat. 인디케이터)

- 자막(단축키 T) 작성 후 선택툴(단축키 V)로 변경***

- 자막의 길이 조절

* 시간 차 자막 삽입시 다른 트랙에 클립 생성 (동시에 여러 자막은 같은 클립에 생성 가능:그룹화)

 

2. 자막 디자인의 기본 (feat. 비디오 트랙)

- 소스패널 - Effect Controls 패널에서 수정 진행

- 폰트, 사이즈, 자간, 컬러, 테두리선, 배경, 그림자 등 자막 디자인

- 자막 더블클릭 -> 중앙 점을 제외한 위치 Drag&Drop (자막의 위치 이동)

 

3. 캡션 자막 (feat. 전용 트랙)

- 상위 Captions and Graphics 테마내 진행

- Create New Caption Track - Format - Subtitle - Style - None : 캡션 토글 생성(C1)

- Essential Graphics 패널 - Edit : 자막 디자인

 

4. 이름 연동 말자막 디자인 (feat. Captions and Graphics)

- 자막 클릭 후 새 텍스트(T) 작성 (이름용)

- 기존 말자막에 이름 연동 자막 위치 지정

- Captions and Graphics - Essential Graphics - Edit - 이름 자막 선택 - Pin to 말자막 - 움직일 방향 선택

- 기본 워크스페이스(기본 테마)로 COME BACK

- 말자막 수정시 이름 연동되는지 CHECK

 

5. 캐릭터(그림) 연동 말자막 디자인 (feat. Captions and Graphics)

- 기존 말자막 클릭 후 Captions and Graphics

- Essential Graphics - Edit - New Layer - From File - 캐릭터(그림) 불러오기 - 캐릭터(그림) 선택 - Pin to 말자막 - 움직일 방향 선택

- 기본 워크스페이스(기본 테마)로 COME BACK

- 말자막 수정시 이름 연동되는지 CHECK

 

6. 자막 프리셋 저장 및 불러오기

- 자막 클립 선택 후 우클릭 - Export as Motion Graphic Template

- Destination

: Local Templates Folder (현 사용중인 프리미어프로 내 저장)

: Local Drive - 설치형(불러오기) 프리셋 파일로 저장 (.mogrt)

- Include Video Thumbnail 체크

- Captions and Graphics - Essential Graphics - Browse (프로그램 내 저장한 자막 프리셋 불러오기)

- Captions and Graphics - Essential Graphics - Browse - Install Motion Graphics Templates (설치형 프리셋 불러오기.mogrt)

: Effect Controls - Motion - 전체적인 크기 및 위치 수정 가능

- 사용 -> 원하는 위치에 템플릿 Drag&Drop

 

 

프리미어프로 강의 2주차 영상 및 오디오 컷 편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1 (1주차)
: 프리미어프로가 뭔지 알려줄게! 프리미어프로의 a-z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초반은 프리미어프로를 설치하는 방법부터 세팅, 기본 용어, 단축키 설정 등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강의로 이루어져 있다. 개인적으로 가장 초반의 강좌가 잘 이루어져 있어야 이해가 잘 되면서 재미를 붙이고 수강을 이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 (이 강의가 있음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판단되었다! )

 

2. 수강하며 정리했던 영상의 기본 (카메라가 없더라도 핸드폰 동영상 화질 설정을 참고)

- 해상도 (p : 픽셀)

일반 비율 16:9 - TV / 유튜브 / 모니터 / 노트북

HD - 1280*720p

FHD - 1920*1080p (현시대 가장 많이 쓰임)

QHD - 2160*1440p

4K - 3840*2160p

*영화 비율 21:9 - 영화 / 모니터

 

- 프레임 (fps : frames per second)

24 fps - 영화

30 fps - 기본

60 fps - 동적인 영상

120 fps - 슬로우 영상

 

3. 유용하게 사용하는 단축키

C : 트랙 및 클립 컷 편집

S : 각 클립에 자석 스냅

T : Type Tool (자막 툴)

V : Selection Tool (기본 선택 툴)

~ : 해당 패널 확대

I / O / , : 소스패널에서 간단히 컷을 편집하고, 트랙으로 삽입하는 단축키

Alt+Drag : 복사

Ctrl+D : 자주 사용하는 비디오 트랜지션

Ctrl+Shift+D : 자주 사용하는 오디오 트랜지션

Ctrl+R : 기본 영상 속도 조절 (속도 조절 단축키는 대부분 R을 포함)

 

4. 영상 편집 순서

- 타임라인 패널 및 소스 패널 -> 컷 편집 및 컷 정리

- 영상 속도 조절 (오디오 속도 함께 고려)

- 자막 입력 및 영상 내 사진 삽입

- Unlink (비디오-오디오 연결 해제)

- 배경음악 및 효과음 삽입 & 볼륨 조절

- 로고 삽입

- 영상으로 인코딩

* 음악 템포에 맞춰 진행되는 영상 편집 시 음악 삽입 및 조절 먼저 진행

 

프리미어프로 강의 1주차 영상 및 오디오 컷 편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