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애프터이펙트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애프터이펙트 강의 part.5 (5주차)
: 애프터이펙트 응용 두 번째! 고급편! (feat. Track Matte)
: 행인 모자이크는 이렇게 하는 건가 봐!(feat. Tracker)


* 애프터이펙트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며, 프리미어프로와 연동하여 디테일한 그래픽 작업 등이 가능하다. (feat. Adobe)

 

1. Track Matte - 레이어에 재료를 합성해서 표현하는 기능

1) Alpha Matte / Luma Matte : 재료의 특성에 따라 알파/루마 매트로 나뉨

2) Alpha Matte(투명) : 재료가 투명과 불투명으로 이루어져 있음

3) Luma Matte(명암) : 재료가 화이트/블랙/그레이 명으로 이루어져 있음

4) 재료는 무조건 합성을 적용할 레이어 바로 위에 배치!!

5) 트랙매트는 원본이미지가 지정(재료 XX)

* 타임라인에서 단축키 F4 : Toggle Switches / Modes 전환

6) 재료&원본이미지 레이어의 좌측 아이콘으로 트랙매트 연결 CHECK

7) 재료레이어는 자동으로 눈이 꺼짐(키면 합성 깨짐)

* Text 레이어는 Alpha Matte

 

* Track Matte를 활용한 슬라이드쇼 예제 작업 시 추가 정보(내가 기억하려고 남김..)

: Ctrl+Shift+D - 인디케이터를 기준 레이어 분리하기

: Shift+'+,=' / Shift+'-,_' - 블렌딩 모드 목록 넘기기

: Columns - Duration - 내가 입력한 시간만큼 영상소스의 길이를 조절

* Audio 레이어 하위 항목 - Audio

: Waveform (파형) / Audio Level (소리의 크기)

* Fade In/Out 시 오디오 조절 값

: -35dB - 소리가 좀 작은 음악이나 보통 크기 음악 대상

: -40~-45dB - 소리가 좀 큰 음악 대상

 

2. Trcaking

: 영상의 특정 부분을 레이어가 따라다닐 수 있도록 포인트를 설치해서 연결하는 것

: 간단하고 고급스러운 느낌

광고/홍보 영상에서 많이 사용

 

1) Point Tracking : 가장 심플하게 사용

2) Perspective Tracking : 특정적인 면적, 네모난 영역을 따라다님

3) 3D Tracking : 카메라가 워킹하는 공간감을 인식해서 따라다님

 

소스의 정보 그대로 컴포지션을 만드는 기능

: New Composition From Footage로 소스 Drag&Drop

: 소스패널 내 컴포지션 아이콘으로 Drag&Drop


* '시간'의 개념이 있는 소스 (ex. 영상)
레이어 양 끝, 검정 삼각형으로 원본의 처음과 끝 표시

 

3. Tracker 심는 순서

1) 트랙킹 시작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2) 트랙커를 심을 영상  선택

3) Tracker(추적기) 패널에서 원하는 트래킹 방식 선택

4) 트랙커를 삽입 후 트랙킹을 적용하는 작업은 Layer 패널에서 작업** (총 완성된 화면을 보는 패널은 Composition 패널)

 

4. Tracker 추척기

- Track Motion(동작 추적) : 1 Point 트랙킹 / Perspective 트랙킹

- Track Camera(카메라 추적) : 3D Camera 트래킹

- Motion Source(동작 소스) : 트랙 포인트를 심을 원본 소스

- Track Type(트랙 유형)-Transform : 1 Point 트랙킹

- Track Type(트랙 유형)-Perspective Coner Pin : Perspective 트랙킹

- Position/Rotation/Scale : 옵션 추가 시 Track Point 증가 및 비율과 회전값 인식 (1 Point트랙킹은 Position으로도 충분)

- Motion Target(동작 대상) : 트랙 포인트를 따라다닐 레이어 선택

- Analyze(분석) : 트랙킹 미리 보기

- Apply(적용) : 해당 값을 키프레임으로 저장

 

5. 1 Point Tracking

1) + : 트랙 포인트의 중심점이자 키프레임이 생성되는 지점

2) 작은 □ : 트랙킹 할 메인 영역 /해당 영역 안의 내용을 바탕으로 트랙킹 / 크기 조절 가능 / Drag시 확대 가능

3) 큰 □ : 작은 □ 부분이 트랙킹을 잘할 수 있도록 정보를 모아주는 역할 / 크기 조절 가능

큰 □ 좀 더 확대하여 정보를 많이 모으고, 작은 □  대상에 가깝게 좀 더 작게 조절

4) 트랙포인트 키프레임으로 적용 후 따라다닐 레이어의 전체 Position 값 선택 후 위치 수정 가능

 

6. Perspective Tracking

1) 4개의 트랙 포인트

2) '+'로 이루어진 사각 영역 안오브젝트 삽입

3) 작은 □/큰 □트랙킹 포인트

4) 모션이 들어간 오브젝트를 트랙킹 할 경우 해당 오브젝트를 그룹화(Ctlr+Shift+C, Pre-Compose)하여 작업

* Track Motion을 활용한 트랙킹 시

: 소스(오브젝트)를 먼저 Pre-Comp로 그룹화 -> 그룹화된 컴포지션을 Motion Target으로 지정

 

7. 3D Tracking

1) 공간감을 인식 -> 공간감이 표현이 된 소스를 사용

2) 소스(오브젝트)보다 트랙커를 심을 영상에 트랙커 작업을 먼저 진행

* Track Camera(3D Tracking)을 활용한 트랙킹 시
: 소스(오브젝트)를 먼저 Motion Target으로 지정 -> 해당 소스를 그룹화하고 디자인 추가

3) Effect Controls 패널

- Track Point Size(추적점 크기) : 포인트 확대/축소

- Target Size(과녁) : 레이어가 어디를 보고 매달릴 건지 방향을 미리 볼 수 있는 역할

* 과녁 아이콘

: 과녁 아이콘이 향하는 방향으로'' 레이어를 매달수 있는 건 X

: 일단 공간감을 따라 매달리게 한 후 언제든 원하는 방향으로 매달리게끔 수정 가능

: 잘 따라다니게끔 하는 것이 중요**

4) 과녁 설정 후 우클릭

- Create Text and Camera(텍스트 및 카메라)

- Create Solid and Camera(단색 및 카메라)

- Create Null and Camera(Null 및 카메라)

모션이 들어간 오브젝트를 트랙킹 할 경우 Solid 선택

5) Solid 생성 시 교정용 컨트롤러 생성

6) Solid 레이어를 Pre-comp(Ctrl+Shift+C) 할 때 Leave all attributes in '~~~' 선택

공간감을 인식하여 변형된 Solid의 속성값을 기억하고 유지해야 하기 때문

* Pre-comp (레이어 그룹화)

- Leave all attributes in '~~~'('~~~'에 모든 특성 유지)

: 선택한 소스 크기로 그룹화

: 그룹화된 컴포지션에 효과/모션/위치 유지

1개의 레이어만 그룹화 가능

- Move all attributes into the new composition(새 컴포지션으로 모든 특성 이동)

: 현재 작업 중인 컴포지션의 크기로 그룹화

: 레이어들과 효과 모두 이동

: 그룹화된 컴포지션 정가운데 위치

: 복수개 레이어 그룹화 가능

- Adjust composition duration to the time span of the selected layers

: 그룹화하고자 하는 레이어의 길이만큼 그룹화할 건지, 컴포지션의 길이만큼 그룹화할 건지 선택하는 옵션

 

7) 그룹화한 후 컴포지션을 원하는 형식에 맞게 수정(Ctrl+K1920*1080p) 및 Solid 삭제 가능(이미 속성값은 가져온 것!)

* Analyzing in background(화면 분석)이 되지 않는 이유

: 컴포지션의 설정이 가져온 영상과 다른 경우(해상도, 프레임레이트, 픽셀 종횡비 등등)

-> 해당 소스를 화면 크기에 맞춘 후 Pre-Comp(그룹화)(=Scale 100%**)

: 영상의 톤이 비슷해서 공간 분석이 어려운 경우

컴퓨터 사양이 받쳐주지 못하는 경우

 

8. 인코딩 (feat. Media Encoder)

1) After Effects 자체 내 인코딩 : 바로 렌더링 가능 / 포맷이 한정적 / .mp4 불가능

2) Adobe Media Encoder : 사용하려면 필수 설치 / 애펙에서 제공하는 모든 포맷 렌더링 가능 / 렌더링과 동시에 편집 작업 가능 / .mp4 가능

 

9. Media Encoder

1) 영상으로 인코딩할 구간 반드시 설정

2) 타임라인의 양 끝 파란점으로 구간 설정 : 단축키 B(구간 시작점 설정) / 단축키 N(구간 종료점 설정)

3) Media Encoder 실행 : Composition - Add to Adobe Media Encoder Queue(Ctrl+Alt+M)

4) Media Encoder 내에서 항목을 복제(Ctrl+D)하여 다른 형식으로 인코딩 가능

5) 원하는 설정대로 인코딩

- Video - Bitrate Settings - CBR(고정 비트레이트 Constant Bitrate)

: 선택한 화질값으로 영상을 일정하게 인코딩

: 안정적/대략 용량 예측 가능/용량이 무거움

- Video - Bitrate Settings - VBR(가변 비트레이트 Variable Bitrate)

: 각 프레임을 분석장면마다 차이를 두면서 인코딩

: 용량이 다소 가벼움/지원하지 못하는 프로그램에선 재생 및 편집 불가능/오디오 싱크 밀림 현상 발생

: VBR 1pass : 한 번 인코딩

: VBR 2pass : 두 번 인코딩하여 화질 개선(효과 미미/시간 소요)

- Target Bitrate(Mbps) : Min 10~15, Max 30

- Audio - Bitrate(kbps) : 320

- 프리셋으로 저장하기 : Preset 옆 저장 버튼

 

10. After Effect 내 인코딩 [Composition - Add to Render Queue(Ctrl+M)]

1) 배경을 투명하게 인코딩

- Render Settings - Best Settings (건드리지 X)

- Output Module

: Format - Quicktime

: Format Options - Video - Video Codec - Animation**(PNG도 가능)

: Channel

- RGB : 불투명하게 렌더링(투명한 부분도 불투명 처리)

- Alpha : 투명한 부분만 렌더링

- RGB+Alpha : 불투명/투명한 부분 같이 렌더링**

- Output To : 파일 저장 경로

 

2) 오디오만 인코딩

- Output Module

: Format - WAV

: Audio Output On(오디오 출력 설정) - 48,000KHz / 16 Bit / Stereo

 

 

애프터이펙트 강의 5주차 Track Matte(Alpha Matte)와 Shape로 텍스트 강조 효과 만들기

애프터이펙트 강의 5주차 예제 연습 모음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애프터이펙트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애프터이펙트 강의 part.4 (4주차)
: 애프터이펙트 응용! 이해가 아주 중요한 Part (feat. Mask / Shape / Parent&Link / Null)


* 애프터이펙트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며, 프리미어프로와 연동하여 디테일한 그래픽 작업 등이 가능하다. (feat. Adobe)

 

1. Mask(마스크)의 기본 및 영역

1) Mask(마스크) 생성

- 마스크를 생성할 레이어 먼저 선택**

- 도형(단축키 Q) / 펜(단축키 G) 툴에서 원하는 마스크 선택

- 화면에 Drag 하여 영역 지정

- 완료되면 Selection Tool(단축키 V)로 돌아오기**

* 펜 툴(단축키 G)은 직접 그리기 (Ctrl+핸들 : 직선 방향으로 핸들 수정)

 

레이어 선택 후 마스크 생성 : 레이어 미선택 시 JUST 도형 생성

 

2) Mask(마스크) 특징

: 한 레이어에 여러 개 생성 가능

: 마스크 생성 시 해당 레이어에 Masks 항목 생성, 하위 항목에 마스크 나열

: 마스크는 각 영역의 색이 다름, 색으로 구별

: 각 마스크마다 조절 옵션이 4개씩 존재

: 마스크 이름 클릭 및 Delete 가능

* Edit - Preferences - General - Appearance - Cycle Mask Colors(주기 마스크 색상) CHECK

 

3) Mask Controls(feat. 점, 선, 면)

- 점 : 각 꼭짓점 컨트롤하여 변형

- 선 : 각  컨트롤하여 변형

- 면 : 한 변 더블클릭하여 전체 컨트롤(feat. 블랙 커서)

* 생성 및 컨트롤 시 Shift(정비율) / Ctrl(중심 기준) 활용 가능

 

4) Mask 속성 - 키프레임 모션 가능

- Mask Path : 테두리 자체 / 영역의 변화 담당 / 가장 많이 사용**

- Mask Feaher : 경계선의 부드러움

- Mask Opacity : 영역의 불투명도

- Mask Expansion : 마스크 영역의 범위 / 테두리 모따기 기능이 있음

 

5) Mask 속성 - 복수의 마스크 겹칠 때 표현 옵션

- Add : 영역 더하기

-Subtract : 빼기

- Intersect : 교집합 only

- Difference : 교집합 제외

- None : 영역만 남기고 마스크 역할은 하지 않는 옵션(ex. 경로)

- Inverte : 마스크 영역 반전

 

2. Shape (Tool Creat Shape(★)은 Shape / Tool Creat Mask(Mask)와 구분해서 기억)

1) Shape 레이어 복수 생성 시 각 각의 레이어 생성 : 기존의 Shape 레이어 선택하지 않고 추가할 Shape레이어 생성

2) Shape 레이어 복수 생성 시 하나의 레이어 생성 : 기존의 Shape 레이어 선택 후 추가할 Shape 생성

3) Shape 레이어에 Mask 생성 시 : Shape 생성 전 상단 툴바에서 ★모양 옆 Tool Create Mask 선택

4) 정형화된 Shape : 각 도형마다 다른 옵션 제공

5) 하위 속성 Contents 오픈 : Rectangle 1 - Rectangle Path1 - Position(도형의 겉 틀 Path)만 조절

6) 하위 속성 Add

: 다양한 모션 옵션 추가 활용 가능

: Merge paths ~ Zig Zag - Shape 고유의 애니메이션 가능

 

5) Shape의 중심축**

: Edit - Preferences - General - Center Anchor Point In New Shape Layers

: 체크 -> Shape 생성 시 중심축은 Shape의 중심

: 체크 X -> Shape 생성 시 중심축은 컴포지션의 중심

: 체크 X -> Shape의 Position 값(960, 540), 수치가 다르다면 레이어 자체를 통째로 움직였다는 뜻

* 작성된 Shape 크기 변경 시 : Rectangle Path - Size는 Shape의 특성을 유지한 채로 크기 조절(feat. 테두리 두께 유지)

* Text를 Shape으로 변경 : 해당 오브젝트 우클릭 - Create - Create Shapes From Text

: 정형화된 도형이 아닌 커스텀한 모양 (정형화된 Shape에서 제공하는 옵션 사용 X)

 

3. 애프터이펙트와 포토샵

1) .psd 파일 레이어 살려서 가져오기

: .psd 소스 임포트(Ctrl+I) - Import Kind - Composition Retain Layer Sizes

* Import Kind- Footage

: Merged Layers(병합된 레이어, 1장)

: Choose Layer(레이어 선택1장)

* Import Kind- Composition

: 포토샵 이미지 파일 크기 그대로 컴포지션 생성 및 레이어 전부 살려서 임포트(빈 공간 자동 Crop XX)

* Import Kind- Composition-Retain Layer Sizes
: 포토샵 이미지 파일 크기 그대로 컴포지션 생성 및 레이어 전부 살려서 임포트(빈 공간 자동 Crop)

 

4. Parent & Link (Parent=부모=상위 레이어 / Link=자녀=하위 레이어)

1) Parent & Link 특성

: Parent의 P/S/R 속성을 따라감

: Link 된 레이어개별적으로도 움직임 O / Parent개별적인 움직임 X

 

2) Parent & Link 적용

: Switches 패널 우클릭 - Columns - Parent&Link - 하위 레이어의 꼬랑지 Drag - 상위 레이어 Drop - 하위 레이어를 상위 레이어에 연결

 

5. Null Object(Null 개체) (feat. Parent & Link)

- 비어있는(보이지 않는) 오브젝트 이자 Parent의 운전대

: Parent 레이어는 개별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Null 오브젝트를 Parent 레이어로 만들기

: Layer - New - Null Object(Ctrl+Shift+Alt+Y)

 

 

애프터이펙트 강의 4주차 Shape의 Trim Path 모던심플 인트로 만들기

애프터이펙트 강의 4주차 예제 연습 모음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애프터이펙트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애프터이펙트 강의 part.3 (3주차)
: 키프레임과 Bridge(모션 활용도를 무한대로~)


* 애프터이펙트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며, 프리미어프로와 연동하여 디테일한 그래픽 작업 등이 가능하다. (feat. Adobe)

 

1. Character 패널

* Type Tool(Ctrl+T) : 작성 후 Selection Tool(단축키 V) 혹은 숫자패드의 Enter (Enter후에도 반드시 셀렉션 툴로 바꾸기)

1) Character : 글자 레이어 선택 후 폰트 및 디자인 변경

2) Align(정렬)

: Align Layer to '기준'

: Composition 화면을 기준으로 정렬

: Selection 2개 이상 선택한 레이어를 기준으로 정렬

(먼저 선택한 레이어를 기준으로 다음 선택한 레이어를 정렬, 포토샵이나 일러스트와 같다)

 

3) Text Layer : PSRT 외에 Text 고유 디테일한 모션을 줄 수 있음(하위 Text 항목의 속성)

 

2. Adobe Bridge

1) Effects&Presets - Browse Preset

: 초보자가 다양하게 활용하기 좋은 모션 프리셋

필수 XX


2) Bridge Text Motion 적용

: 모션을 넣을 위치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프리셋을 넣을 텍스트 레이어 먼저 선택** - 브릿지 창에서 원하는 프리셋 더블클릭 - 단축키 U - 키프레임 속성 CHECK

: 키프레임 간격 - 속도와 타이밍 조절 가능

: 모션 섞어 쓰기도 가능 -> 다음 모션 넣기 전 반드시 레이어 다시 선택**

 

3) 프리셋 삭제

키프레임 삭제 XX

: Text의 하위 목록 -  More Option <-여러 속성들(Animator 1, 2, 3...)-> Transform 사이 '여러 속성들' 삭제

 

4) 프리셋 응용 방법 예시 (feat. Text Layer)

: Layer 01 복사하여 Layer 02 생성 - Layer 01 Fill only / Layer 02 Stroke only - Bridge - Random Fade Up 적용 - 속도 및 타이밍 조절 - Position 모션 - Ease In 키프레임 적용 - 속도 및 타이밍 조절

* Range Selector(진행 모션 담당) :하위 항목들에서 해당 브릿지의 디테일한 PSRT 속성 확인 가능

* Animator 하위 PSRT 항목

: 기존 프리셋에 적용되어 있는 모든 모션 항목들의 '출발값' 확인

: 수정/추가/삭제 가능(feat. Add - Property)

: Range Selector의 모션 속성 확인 가능

Range Selector - Advanced - Randomise Order - On/Off

 

 

애프터이펙트 강의 3주차 메뉴보드씬 만들기

애프터이펙트 강의 3주차 예제 연습 모음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프리미어프로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프리미어프로 강의 part.5 (5주차)
: 실력 향상! 미니 인트로 제작까지 가능해졌다고!! (feat. 키프레임 & 트랜지션)


* 프리미어프로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다. (feat. Adobe)

 

1. 카메라 무빙 효과 (feat. 키프레임 활용)

1) Zoom In/Out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전체 시작값 조절(OUT의 경우) - Scale(주)/Position(부)/Rotation(부) 스톱워치 활성화 - 인디케이터 이동 - 전체 결괏값 조절

* Position 정가운데 좌표값

- FHD : 960*540

- HD : 640*360

 

2) Panning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Scale 값/Position 시작값 조절 - Position 스톱워치 활성화(Scale값은 고정) - 인디케이터 이동 - Position 결과값 조절

 

3) 특정 부분 확대/유지/축소

: 모션 시작할 지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모션 적용 클립 선택 - Effect Controls - Scale/Position 스톱워치 활성화 - 확대할 순간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Scale 값/Position값 조절 - 인디케이터 이동 - 확대 결과값 키프레임(◆) 선택 Ctrl+C/V(유지 결과값 만들기) - 인디케이터 이동 - 첫 번째 시작값 키프레임(◆) 선택 - Ctrl+C/V(축소 결괏값 만들기)

* 최소 8개의 키프레임 필요

 

 

2. Swipe Transition 효과 (feat. 키프레임 활용)(트랙 CHECK**)

1) 두 영상(V1 트랙) 편집점의  윗트랙(V2 트랙)으로 이미지 or 영상 삽입 - 해당 클립(V2 트랙) 시작값 조절 - Position 모션 활성화(스톱워치) - 인디케이터 이동 - 결과값 조절 - 키프레임 속도 조절

 

2) 모션 클립(V2 트랙)의 필요 없는 앞/뒤 삭제 - 전환 전 클립(V1 트랙)의 끝부분으로 모션 클립 이동(V2 트랙) - Project 패널 - Effects - Linear Wipe - 전환 전 클립(V1 트랙)에 적용 - Effect Controls - Linear Wipe - Transition Completion - 인디케이터 이동 - 시작값 조절 - 모션 활성화(스톱워치) - 인디케이터 이동 - 결괏값 조절

 

3) 모션 클립 시작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전환 전 클립(V1 트랙) 컷(단축키 C) - 컷 클립 & 모션 클립 트랙 이동(V2 트랙 & V3 트랙) - 전환 후 클립 편집점으로 붙이기(V1 트랙)

 

 

3. 미니 인트로 제작 (트랙 CHECK**)

1) Import Folder(편집할 영상이 모여있는 폴더) - Ctrl+N(인트로용 새 시퀀스) - DSLR 1080p30 - 이름 지정

 

2) 오디오 클립 생성(A1 트랙) - 오디오 클립에 맞춰 타임라인에 마커(단축키 M) 생성

 

3) 소스 패널을 이용하여 컷 편집(단축키 I, O) - 마커 위치로 클립 삽입(A1 자물쇠 및 단축키 ',')

* 클립의 길이가 마커보다 짧을 시 Rate Stretch Tool(단축키 R)을 이용하여 속도 조절

 

4) Type Tool(단축키 T)을 사용해 멘트 작성(텍스트 컬러 화이트) - 트랙(V2 트랙) 전체로 길이 늘이기 - 마커 위치에 맞춰 해당 클립 컷 편집 - 각 클립 문자 수정

* 복사해서 사용도 가능하지만, 길이를 늘이고 컷 하여 수정하는 것이 더 빠른 방법 :)

 

5) 글자 안에 영상 투영되도록 Track Matte Key 효과 활용

: New Item - Color Matte(배경지) - 기존 클립들 한 트랙씩 위로 이동(V2, V3 트랙) - Color Matte 클립 생성(V1트랙 전체) - Effects - Track Matte Key - 영상 클립에 적용(V2 트랙) - Effect Controls - Track Matte Key - Matte - Video 3(자막 클립, V3 트랙) - Composite Using - Matte Alpha

* 블랙/화이트로 이루어진 Luma Matte 소스 = Matte Luma

* Text 클립은 글자 외의 부분을 투명으로 인식 = Matte Alpha

 

: Effect Controls - Track Matte Key 탭 선택 - Ctrl+C - 나머지 영상 클립(V2 트랙) 선택 - Ctrl+V

* 엔딩 클립 제외

 

6) 모션 넣기 (feat. 키프레임)

: 마지막 두 번째 자막 클립 한 트랙 위(V4 트랙)로 이동(V3 트랙의 해당 부분 비어있음) - 해당 영상 클립(V2 트랙)의 Matte, Video 4로 변경 - 엔딩 클립(영상&자막) Nest - 엔딩 클립 뒤로 밀어두기(임시)

: 엔딩 전 자막 클립 - 자막의 축, 중심으로 이동 - 영상 클립의 중간 위치로 인디케이터 이동 - Text - Transform - Scale 모션 활성화 - 인디케이터 1초 뒤로 이동 - 인디케이터 위치보다 클립(해당 영상&자막) 연장(엔딩컷과 겹치면서 디졸브 될 수 있도록) - Scale 값 조절하여 확대(엔딩 영상이 온전히 보일 수 있도록)

: 마지막 마커(전 클립과 겹쳐지는 구간)로 엔딩 클립 삽입(V3 트랙의 비어있던 부분) - V3 트랙 오픈 - 엔딩 클립의 겹치는 구간 투명도 조절(Ctrl+클릭)로 트랜지션 효과

: 가장 상위 트랙(V5 트랙) - 보조 문구 작성 - 해당 트랙(V5 트랙) 오픈 - 엔딩 클립과 겹치는 구간 투명도 조절(Ctrl+클릭)로 트랜지션 효과

 

 

4. 트랜지션 템플릿(.prfpset) 설치 및 사용 (트랙 CHECK**)

1) Effects - Presets - Import Preset

 

2) 프로젝트 패널 - New Item - Adjustment Layer**

* Adjustment Layer(조정레이어)

: 여러 클립에 동일한 트랜지션 효과를 넣는 아이템

: 줌인, 슬라이드 등 두 클립을 엮어 표현하기 위해

: 시퀀스와 크기가 같아야 함**

 

3) 두 클립의 편집점 윗트랙(V2 트랙)에 Adjustment Layer 클립 생성 - 편집점으로 인디케이터 이동 - 사용할 프리셋(12 프레임)에 맞춰 Adjustment Layer 클립의 길이 조정(앞 6+뒤 6) - 해당 클립 위 트랙(V3 트랙)으로 복사 - V3 트랙의 클립에 프리셋 적용 - V2 트랙의 클립에 치료약 적용 - V2 트랙의 클립 길이 조절(불필요한 부분 삭제)

* V1 트랙 : 두 가지 영상

* V2 트랙 : Adjustment Layer(ex. 12f Zoom In), 치료약 효과 적용

* V3 트랙 : Adjustment Layer 클립 복사, 프리셋(화면 전환 효과 등) 적용

** 치료약 : 프리셋 적용 시 나타나는 오류 수정

 

.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카메라 무빙 효과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카메라 Swipe Transition
프리미어프로 강의 5주차 미니 인트로 제작

 

 

낼뱀카(내일 배움 카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요즘의 내일 배움 카드는 50만원의 추가 크레딧을 준다.

"K-디지털 기초역량훈련" 이라고 해서 온라인으로 국비지원교육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크레딧.

기본 코딩, 웹/앱 개발, 영상, 디자인 등 대게 입문 과정부터 기초 과정까지 강의 구성이 되어있는 편이고,

기간은 약 3-5주 코스로 짜여있다.

새로운 배움을 시작하기 전에 맛보기로 기초 이론을 빠르게 배워봄으로써 나에게 잘 맞을지 아닐지 수업을 들어볼 수 있는 정도로 구성이 되어 있는 것 같다.

 

여러 강좌를 수강할 수 있으며, 남은 금액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좌보다 적더라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나는 여러곳을 알아보다가 패스트캠퍼스의 프리미어프로 강의와 애프터이펙트 강의, 두 가지를 수강 중.

프리미어프로 강의(30만원) 먼저 결제 후 20만원이 남아있지만 애프터이펙트 강의(40만원)도 수강이 가능하다는 얘기.

(단돈 5만원이 남아있을지라도 수강이 가능!!)

 

anyway, 나의 애프터이펙트 강의 훈련 기록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1,2,3,4,5 주차로 분류되는지 모르겠어서 내가 강의를 들을 때 분류한 순서로 설명합니다.)

 

 

 


 

 

 

애프터이펙트 강의 part.2 (2주차)
: 키프레임의 모든 것! 내 기준 가장 중요한 작업! 이걸 모르면 애펙을 활용할 수 없을 것 같아!

* 애프터이펙트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편집하는 프로그램이며, 프리미어프로와 연동하여 디테일한 그래픽 작업 등이 가능하다. (feat. Adobe)

 

1. PTSD는 아는데 PSRT는 뭐야? (feat. 키프레임)

P : Position(위치)

S : Scale (크기)

R : Rotation (회전)

T : OpaciTy (불투명도)

- 레이어에 전부 들어있음 (특별한 효과 없어도 제어 가능)

- 사용빈도 아주 아주 많음! 거의 모든 작업에 들어간다고 보면 될 것 같다 :)

- 효과 안에도 존재

* 레이어 선택 후 단축키 P, S, R, T를 누르면 해당 속성이 열림 (추가 속성은 한 가지 속성 오픈 후 ->Shift+P, S, R, T)

 

2. 키프레임 모션 순서 (feat. 암기 또 암기, 손이 외우도록 연습!)

1) 인디케이터를 모션 시작 지점으로 이동

2) 모션 줄 속성 오픈

3) 모션의 시작 모양새 잡기

4) 모션 줄 속성에 스톱워치 클릭 -> 첫 번째 키프레임 생성()

5) 인디케이터를 다음 모션 줄 시간대로 이동

6) 다음 모션 모양새 잡기 -> 키프레임 자동 생성()

* 키프레임이 들어간 속성만 열기 : 단축키 U

 

3. 모션블러 (프리미어프로보다 훠얼씬 간단)

: Motion Blur 동적인 느낌을 주는 효과

: Switches 패널 - Motion Blur - 공 3개 아이콘

* Switches 패널 / Toggle Switches / Modes / Columns - Switches

 

4. 키프레임의 종류 (feat. 텐션있는 모션)

1) Linear Keyframe(선형 키프레임) : 정속도로 출발해서 정속도로 도달하는 느낌

2) Ease In Keyframe(천천히 들어오기, Shift+F9) : 도착할 때 천천히 딜레이 걸리듯 도착하는 키프레임(도착 성격)

3) Ease Out Keyframe(천천히 나가기, Ctrl+Shift+F9) : 도착할 때 자석에 달라붙는 것처럼 가속되면서 도착하는 키프레임(출발 성격)

4) Hold Keyframe(고정) 오각형 : 모션이 진행되지 않고 스탑모션처럼 끊기게 보여주는 키프레임

5) Easy Ease Keyframe(천천히 들어오기 및 나가기, F9) 모래시계 : Ease In과 Ease Out을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키프레임

* Ctrl+키프레임 클릭 -> ◆의 기본 키프레임으로 돌아옴 (다중 선택은 Shift+키프레임)

 

5. 키프레임 적용

1) 기본 적용 방법

: 키프레임 선택 - 우클릭 - Keyframe Assistant - 키프레임 종류 선택

* Hold Keyframe 적용

: 기본 키프레임 생성 - 나타나야 하는 각 위치로 인디케이터 이동 - Add or Remove Keyframe at current time - 생성된 키프레임'' 선택 - 우클릭 - Toggle Hold Keyframe

 

2) Graph Editor (텐션의 농도 설정 / 더더 텐션감 주기)

: 키프레임 선택 - Graph Editor - ■(내가 선택한 키프레임)의 Handle로 그래프 조절

* Graph Editor

: Edit Speed Graph Type으로 보는 것이 편함

: 가로(시간)/세로(속도)

 

6. 꼬인 경로 풀기 (키프레임 모션 모양 수정)

: Keyframe Interpolation(키프레임 보간)

: 키프레임 선택 - 우클릭 - Keyframe Interpolation - Spatial Interpolation - Linear(선형)/Auto Bezier(자동 곡선)/Bezier(곡선)

 

** PSRT 키프레임과 속성을 적용하는 순서의 경우 프리미어프로와 거의 같더라!

프리미어프로 강의를 먼저 듣고 난 후 들었더니 훨씬 이해가 빨리되고 도움도 많이 되었음 :)

 

 

애프터이펙트 강의 2주차 PSRT와 키프레임

애프터이펙트 강의 2주차 예제 연습 모음집

 

+ Recent posts